겨울철 추워서 난방 온도를 올렸더니 너무 더워져서 땀이 나거나 건조해져서 목이 아프거나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난방을 잘 하는 게 의외로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효율적인 겨울철 실내적정온도를 맞추기 위해 겨울철 쾌적한 공간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난방 시 실내온도를 몇 도로 설정하면 될까?
겨울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역시 난방이 꼭 필요합니다. 너무 춥다고 생각해서 무심코 난방 온도를 높게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과연 적정 온도는 몇 도 정도로 설정하면 좋을까요?
겨울철 쾌적하다고 느끼는 온도는 난방 시 실내 온도는 20℃가 기준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숫자는 조금 낮게 되어 있다고 합니다. 춥고 더운건 개인차가 있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실내적정온도는 18도 22도라고 하는데 많은 사람들은 22도 정도가 쾌적하게 느껴질 것 같습니다. 다만 사용하는 보일러나 난방기구에 탑재된 센서의 정확도가 그리 높지 않으면 설정 온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쾌적함을 느끼는지 여부는 습도나 체감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온도계나 습도계를 준비해 숫자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방 상태도 고려하여 설정하자
겨울철이라고 해도 방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쾌적함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햇볕이 드는 곳이라면 따뜻하게 느껴지지만 창문 근처라면 냉기가 들어와 추위를 느낄 수도 있습니다. 또, 건물의 단열성이 낮으면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난방을 켜도 따뜻해지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게다가 높은 천장이 있는 집에서 공조 설계가 불충분하면 난방 효과가 좋아지기 어렵습니다.
따뜻한 공기는 위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높이가 있는 방은 바닥 근처가 차가워지기 쉽습니다. 또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건물은 축열성이 높은 반면 따뜻해지기까지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게다가 창문의 크기와 수도 난방 효율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열은 온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단열성이 낮은 집이라면 데운 실내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집안에서 열이 드나드는 곳은 벽이나 바닥, 천장 등이지만 가장 많은 것은 창문입니다. 단열성이 낮은 창문이라면 겨울철 열 유출량의 약 50% 이상이나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창문 근처에 있다가 춥다고 느끼긴 해도 그렇게 많은 열이 빠져나간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적은거 같습니다.
습도를 조절하여 체감온도를 높여줍니다!
겨울은 건조해지기 쉽기 때문에 습도 관리도 중요합니다. 잘 조정하면 체감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절전에도 한몫을 해준다고 합니다.
소량의 땀에도 증발과 함께 몸의 열이 빠져나간다.
습도가 10% 오르면 체감온도는 1도 오른다고 합니다. 습도가 낮으면 체감온도가 떨어지는 이유는 체표에서 수분이 뺏기기 때문입니다. 우리 몸에 구비된 체온 조절 기능은 땀이 증발할 때 열을 빼앗아 가는 작용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겨울철 실내적정온도를 맞추려면 공기가 건조해 체표의 수분을 빼앗기기 쉽고 동시에 열도 가져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춥게 느껴집니다.
습도가 낮은 공기에는 체온이 쉽게 이동할 수 있다
공기와 수분 사이에 열의 이동성에 차이가 있다는 것도 습도가 낮으면 춥게 느껴지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공기는 식기 쉬운 반면 수분은 쉽게 식지 않습니다. 그래서 습도가 낮으면 수분이 적은 상태이기 때문에 몸의 열은 공기에 빼앗기기 쉬워지는 겁니다.
습도가 낮으면 섬모 기능도 떨어진다?
우리의 코와 목, 기도 점막은 섬모라고 불리는 세포로 덮여 있습니다. 이것은 체내에 침입한 이물질을 걸러내는 작용을 합니다. 하지만 습도가 낮으면 건조해져서 이런 기능이 약해지기 때문에 체내에 이물질을 흡수할 위험도 올라가 버립니다. 습도가 낮으면 이런 문제도 있으니 주의하는게 좋습니다.
공기 환경을 조성하여 겨울철 쾌적한 공간을 만드는 요령
그럼 구체적으로 겨울철 습도를 조절하면서 쾌적한 공간을 만들기 위한 포인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람을 조절하여 난방 효율을 향상!
윗부분에 쌓인 따뜻한 공기를 순환시키려면 서큘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천장을 향한 상태에서 운전하면 기류가 좌우로 나뉘어 벽에 부딪힘으로써 확산됩니다. 공기를 방벽을 따라 순환시키는 것이 요령이므로 공기가 어떻게 흐르는지 생각하여 방향을 정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에어컨 난방을 사용하고 있다면 에어컨 대각선 위에 놓고 서큘레이터를 설치해 대각선 위로 바람을 보내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습도 조절에는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정지하는 기능이 있다면 너무 습해지지도 않습니다. 에어컨과 가습기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습기를 에어컨 바람에 실어 방 안으로 가게 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가습 공기청정기는 에어컨 반대쪽이나 대각선 벽, 가습기의 경우 에어컨 밑에 두면 효과적입니다.
공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라도 환기는 반드시 할 것
실내 공기는 정기적으로 교체하지 않으면 바이러스나 균, 먼지 등에 더해 이산화탄소의 양도 늘어납니다. 쾌적한 공간을 만들려면 역시 환기는 필수입니다. 추운 계절에는 겨울철 실내적정온도를 맞추기 위해 창문을 여는 데 주저할 수 있지만 기분 좋게 지내기 위해서라도 신선한 공기를 마시도록 합시다. 또한 집의 24시간 환기 시스템을 꺼버리는 분도 있는데 사용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배터리 관리, 안 타면 얼마나 시동 걸어줘야 하나? 방전은?? (0) | 2022.12.22 |
---|---|
주말 주차단속 언제하고 걸리면 얼마를 내야할까? (0) | 2022.12.20 |
겨울철 피부 가려움증 해결하는 방법, 왜 간지러울까요? (0) | 2022.12.08 |
겨울철 정전기 방지법, 즉시 해결 가능한 정전기 없애는 법 5가지! (0) | 2022.12.07 |
겨울철 세차 방법, 추운데 온수로 세차 해도 될까요? (0) | 2022.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