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주차장 찾기도 힘들고, 길거리 빈자리에 주차해둬도 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거라 생각됩니다. 괜히 잘 모르는 곳에 잘못 주차했다가 과태료를 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평일에는 주차단속이 언제될지 모르니 그냥 주차장에 주차하는게 마음이 편합니다. 주말에도 주차장에 주차하는게 제일이지만 상황이 안 따라줄 때도 있습니다.
주차단속은 세 가지로 나눠서 단속을 하는데 CCTV, 단속차량, 시민들의 신고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주말 주차단속 시간
주말 주정차 단속시간은
12시부터 18시까지입니다.
평일은 주차단속은
9시부터 21시까지입니다.
이 시간들은 지자체나 자치구 여건에 따라 시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점심시간인 12시부터 2시까지는 대체로 주정차를 허용해주는 곳도 있으니 약간의 복불복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주차해야 주말 주차단속에 걸리지 않을까?
주차 단속에 걸리지 않으려면 일단 도로의 차선을 확인해야하는데요. 이 차선이 어떻게 생겼냐에 따라 주차가 가능하기도 하고 불가능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주차공간에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이런 정보들을 잘 알아둬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법주차는 절대로 하시면 안됩니다.
일단 흰색 실선은 주정차가 가능한 곳입니다. 그래서 이런 곳은 거의 대부분 주차가 돼있거나 차량이 북적한 경우가 많습니다. 편하게 이용하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황색 점선의 경우 5분 이내 정차만 허용되는 곳입니다. 이런 곳에다 주차를 하다가 단속반이 뜨면 바로 과태료 처분 대상이 됩니다. 그래서 이곳에 정차를 할 때는 차를 비우지 않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주차는 불가합니다.
황색 실선이 있는 경우는 시간이나 요일에 따라 주정차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변의 표지판에 안내가 돼있는지 확인해보는게 좋습니다. 그 시간대를 제외하면 주정차가 불가하기 때문에 단속 대상이 될 수 있으니 조심하는게 좋습니다.
황색 선 두줄은 무조건 주정차가 불가하니 절대로 주정차를 하시면 안됩니다. 또 요즘은 빨간선도 보이는데 빨간선은 공무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곳이니 그곳에도 절대로 주차해서는 안됩니다. 또 소방차를 막도록 주차를 할 경우 차량이 파손돼도 보상 받을 수 없으니 이런 쪽은 꼭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주말 주차단속 과태료는?
보통 위반시 과태료 3만원, 주차 시간이 2시간이 지나가면 4만원이 부과됩니다. 또 어린이 보호구역이나 소화전 앞에 주차를 하다가 단속되면 일반 과태료에 두 배가 부과되니 이점 주의하시고 잘 모르는 곳에 주차할때는 꼭 알아보시고 주차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또 주차 금지 구역에 주차하셔서 시민의 신고가 있을 시 과태료 처분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주말에는 단속이 심하지 않다고 아무렇게나 주차하다간 과태료 선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웬만하면 공영 주차장이라도 이용하시고 주차 여건이 좋지 않다면 주차 가능한 곳을 찾아서 안전하게 주차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주말 주차단속에 걸리지 않으시길 바라며 또 나 혼자는 괜찮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시민들의 생활에 불편함을 주고 안전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눈길 운전요령 총정리 했으니 알아보고 손해보지 마세요! (0) | 2023.01.13 |
---|---|
겨울철 배터리 관리, 안 타면 얼마나 시동 걸어줘야 하나? 방전은?? (0) | 2022.12.22 |
겨울철 실내적정온도와 쾌적한 공간을 만드는 방법 (0) | 2022.12.09 |
겨울철 피부 가려움증 해결하는 방법, 왜 간지러울까요? (0) | 2022.12.08 |
겨울철 정전기 방지법, 즉시 해결 가능한 정전기 없애는 법 5가지! (0) | 2022.12.07 |